요약
엄마 아빠만 받을 수 있는 혜택! 놓치면 안 되겠죠? 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6월 18일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에 따라 지급 대상이 결정되고, 1차는 7/21~9/12, 2차는 9/22~10/31에 신청·지급되며, 사용 기한은 11/30까지입니다. 기준일 이후 출생·귀국자도 이의 신청으로 대상에 포함될 수 있어요. 전통시장, 동네 상점 등에서 최대 55만원까지 쏠쏠히 받는 기회! 아래에서 신청 방법부터 사용처, FAQ까지 꼼꼼히 정리했습니다.
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·사용 완벽 가이드
📆 1. 지급 기준일
- 2025년 6월 18일(수)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로 대상이 확정됩니다.
🗓️ 2. 신청·지급 일정
- 1차 신청·지급: 2025년 7월 21일(월) 오전 9시 ~ 9월 12일(금) 오후 6시
- 2차 신청·지급: 2025년 9월 22일(월) ~ 10월 31일(금)
- 요일제 안내: 신청 첫 주(7월21~25일)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요일제 적용
(끝자리가 1·6이면 월요일, 2·7은 화요일, 3·8은 수요일, 4·9는 목요일, 5·0은 금요일에 신청할 수 있다.
26일부터는 요일제가 해제된다)
💰 3. 지급 금액
- 1차 지급:
- 일반 국민: 15만 원
- 차상위 계층·한부모: 30만 원
- 기초생활수급자: 40만 원
- 비수도권 +3만 원,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+5만 원 추가
- 2차 지급: 1차 수령자 중 소득 상위 90% 이하 대상, 전 국민 10만 원 추가
- 최대 지급액 예시:
- 일반(농어촌 거주): 15+5 +10 = 30만 원
- 기초생활수급자(농어촌): 40+5 +10 = 55만 원
🩺 4. 대상자 특례
- 기준일 이후 출생 신생아, 귀국자, 군인 등도 이의 신청으로 대상 포함 가능
- 주소지 이사 후 전입 신고 완료 시, 카드형은 사용지역 변경 가능
📌 5. 신청 방법
① 온라인
- 카드사(신용/체크/선불), 지역사랑상품권 앱, ARS, 콜센터 등에서 24시간 신청 가능.
② 오프라인
- 주말 제외 평일 오전 9시~오후 6시: 주민센터, 제휴 은행 방문 가능 (은행은 오후 4시 마감).
- 찾아가는 신청: 고령자·장애인은 지자체 방문 접수 지원.
🛍️ 6. 사용처 및 기한
- 사용 기한: 2025년 11월 30일(일)까지
- 사용처: 주민등록지 기준
-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
- 카드형: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(전통시장, 동네마트, 음식점, 미용실, 학원 등)
- 대형마트ㆍ백화점ㆍSSM 등 대형 유흥·사행업종은 사용 불가, 단 임대매장 중 소상공인 운영점은 사용 가능
🔄 7. 주의사항
- 신청 이후 취소나 카드사 변경 불가능
- 미사용 금액 환불 불가, 11/30 종료 후 자동 소멸
- 스미싱 문자 주의, 정부나 은행이 아닌 곳의 링크는 클릭 금지

🧾 FAQ

Q1. 출생일이 6월 19일인 아이는 받을 수 있나요?
A1. 출생신고 및 이의 신청을 9월 12일까지 완료하면 1차 대상에 포함됩니다.
Q2. 군인은 어떻게 받나요?
A2. 나라사랑카드로 받을 수도 있고, 주소지 읍면동에서 오프라인 접수도 가능합니다.
Q3. 이사 후에도 사용할 수 있나요?
A3. 카드형은 사용지역 변경 신청 가능, 상품권·선불카드는 변경 불가능하니 신중히 선택하세요.
✅ 정리 리스트
- 기준일: 6/18 주민등록 기준
- 1차 신청: 7/21~9/12
- 2차 신청: 9/22~10/31
- 사용 기한: 11/30까지
- 최대 지급액: 55만 원 (기초+농어촌 거주자)
- 신청 방식: 온라인/오프라인/찾아가는 신청
- 사용처: 연 매출 30억 이하 소상공인 운영 매장
👉 지금 바로 주민등록지 맞춰서 7/21 오전 9시 전에 준비하시고, 첫 주 요일제 확인 후 신청하세요!
➡️ 신청 당일 바로 사용 가능하니 알뜰하게 소비하고 우리 동네 상권도 살리는 똑똑한 소비를 시작해요!
📞 문의처
- 행정안전부 고객센터: 110
- 국민신문고(이의신청): www.epeople.go.kr
- 국민건강보험공단: 1577-1000
- 보건복지부: 129
- 국세청: 1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