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정부 지원금 연간 일정 총정리 | 부모급여·아동수당·장학금·바우처 한눈에

아래 내용은 2025년 기준으로 부모급여·아동수당·첫만남이용권·에너지바우처·문화누리카드·국가장학금·근로·자녀장려금 등 주요 정부 지원금을 월별로 정리한 가이드입니다. 신청기간과 사용기한, 정기 입금일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달력형으로 배치하고, 헷갈리기 쉬운 예외·주의사항도 함께 담았어요. 아이 키우는 집이라면 특히 ‘언제 신청하고 언제 들어오는지’가 제일 중요하죠. 엄마 아빠만 받을 수 있는 혜택! 놓치면 안되겠죠?


2025 정부 지원금 연간 일정 총정리 (개요)


월별 달력형 가이드

1–3월

  • 매월 25일: 부모급여(0세 100만, 1세 50만)·아동수당(10만)·기초연금 정기 지급(휴일 시 전일). (대한민국 정책브리핑, 국가법령정보센터)
  • 국가장학금 1학기 2차: 2025.02.02~03.18 신청(서류·가구원정보제출 포함).
  • 근로·자녀장려금 반기(전년도 하반기분) 지급 신청: 3월 초~중(년차별 변동 가능, 국세청 공지 확인). (국세청)

4–6월

7–9월

10–12월


제도별 핵심 정리

부모급여 (매월 25일 입금)

  • 금액/대상: 만 0세 100만 원, 만 1세 50만 원(가정양육 현금,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차감 후 차액 현금).
  • 지급일: 매월 25일(주말·공휴일이면 전일).
  • 신청 팁: 출생일 포함 60일 내 신청 시 출생월 소급 가능. (대한민국 정책브리핑)

아동수당 (매월 25일 입금)

첫만남이용권

  • 금액: 첫째 200만 원, 둘째 이상 300만 원(국민행복카드 바우처).
  • 신청 기한: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생 후 60일까지.
  • 사용기간: 출생일 기준 최대 2년. (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)

에너지바우처

  • 신청: 2025.06.09~12.31(행정복지센터/온라인).
  • 사용기간: 여름 07.0109.30, 겨울 10.16익년 04.30.
  • 콜센터: 1600-3190. (산업통상자원부)

문화누리카드

  • 지급액: 연 13만 원.
  • 발급/재충전: 2025.02.03~11.28(기존 이용자 자동재충전).
  • 사용기한: 12.31까지. (energyv.or.kr)

국가장학금(대학생)

  • 2학기 1차: 05.23~06.30
  • 2학기 2차: 08.13~09.10
  • 1학기 2차(참고): 02.02~03.18
  • 주의: 서류·가구원동의 마감일 별도. (국세청)

근로·자녀장려금

  • 정기(귀속연도분): 2025.05.01~06.02 신청 → 8월 말~9월 순차 지급.
  • 반기(근로장려금): 9/1~9/15(상반기분) → 12월 말 지급.
  • 문의: ARS 1544-9944, 상담센터 1566-3636.

놓치기 쉬운 디테일 (자상한 아빠 팁)

  • 25일은 ‘복지 데이’: 부모급여·아동수당·기초연금이 한 날에 들어와요. 공휴일이면 하루 앞당겨짐. 자동이체 날짜를 26~27일로 잡으면 연휴 변수에도 안전합니다. (대한민국 정책브리핑, 국가법령정보센터)
  • 첫만남이용권신청 기한(출산 후 60일), **사용기한(최대 2년)**이 모두 중요. 카드 포인트니까 남기면 소멸! (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)
  • 근로장려금정기/반기가 달라요. 정기는 5월1일 – 6월 2일 신청 8월 말 지급, 반기는 9월 신청→12월 말 지급. 일정 겹치면 이중 신청 불필요. (국세청)
  • 문화누리카드발급 마감(11/28) 이후 신규 발급이 어려워요. 금액은 연 13만 원, 12/31까지 사용해야 합니다. (energyv.or.kr)
  • 에너지바우처는 여름/겨울 사용창구가 다릅니다. (산업통상자원부)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정부 지원금 연간 일정 총정리에서 가장 중요한 날짜는?

A. 매월 25일 정기 입금(부모급여·아동수당·기초연금)과 5~6월 근로장려금 정기신청, 8~9월 근로장려금 지급, 9월 반기신청, 문화누리 11/28 마감, 에너지바우처 12/31 신청 마감이에요. (대한민국 정책브리핑, 국가법령정보센터, energyv.or.kr, 산업통상자원부)

Q2. 부모급여는 어린이집을 다니면 못 받나요?

A. 받을 수 있어요. 다만 보육료 바우처를 먼저 적용하고, 차액을 현금으로 받습니다. (대한민국 정책브리핑)

Q3. 첫만남이용권은 언제까지 쓸 수 있나요?

A. 출생일 기준 최대 2년. 신청은 출산예정일 40일 전~출생 후 60일 사이에! (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)

Q4. 아동수당은 언제, 얼마가 들어오죠?

A. 매월 25일, 월 10만 원. 8세 미만 모든 아동 대상입니다. (대한민국 정책브리핑)

Q5. 국가장학금은 학기마다 꼭 1·2차를 둘 다 신청해야 하나요?

A. 보통 1차를 권장하지만, 놓쳤다면 2차로 구제 가능(유형/대학별 세부 안내 확인 필수). (국세청)

Q6. 근로장려금은 언제 들어오나요?

A. 정기신청분은 8월 말부터 9월 초 사이 순차 입금, 반기(상반기분)는 12월 말 지급이 원칙입니다. (국세청, 대한민국 정책브리핑)



문의처(빠른 연락처)


체크리스트: 우리 집에 해당되는 ‘정부 지원금 연간 일정 총정리’


마무리

올해도 정부 지원금 연간 일정 총정리 달력을 캘린더에 그대로 옮겨두세요. 놓치면 사라지는 혜택이 의외로 많습니다. 지금 바로 자격 확인 → 신청 → 사용기한 체크까지 한 번에 점검해요. 궁금한 건 위 문의처로 바로 전화하면 제일 빨라요!


부록: 제도별 요약 표

매월 고정 입금

신청·사용 기한형
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위로 스크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