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완벽 가이드 (신청기간·자격·서류·혜택 총정리)

요약: 2025년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매달 10만 원을 24개월 저축하면 의무사항 이행 시 현금 480만 원 + 지역화폐 100만 원을 더해 최대 580만 원의 목돈을 만드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. 신청기간은 2025년 8월 1일(금) 09:00 ~ 8월 18일(월) 18:00, 온라인으로만 접수해요. 거주·연령·근로·소득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고, 제출서류는 공고일 이후 발급분만 유효합니다. 지금 바로 자격 체크부터 서류 준비까지 차근차근 안내해 드릴게요. 자격만 되면 받을 수 있는 혜택! 놓치면 안되겠죠?


청년 노동자 통장이란? 핵심만 콕!

청년 노동자 통장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저소득 청년이 매달 10만 원씩 24개월 저축하면, 거주·저축·근로·교육 이수 등 의무를 지킬 때 현금 480만 원 + 지역화폐 100만 원을 더해 최대 580만 원을 만들 수 있게 돕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이에요. 직장인·아르바이트·소상공인 등 근로형태와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죠. 올해는 14기 신규 접수입니다.


2025 신청기간·모집규모·접수처

  • 신청기간: 2025.8.1.(금) 09:00 ~ 8.18.(월) 18:00
  • 모집규모: 3,000명
  • 접수방법: 온라인 전용(방문·우편 불가), 마감시간 엄수(제출 완료 필수)
  • 접수처: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공식 홈페이지
    → 기간 중 24시간 신청 가능하지만 첫날·마감일 접속 폭주가 있어요. 미리 준비해 두면 마음이 편합니다.

신청 자격 4가지 체크리스트

  • 병역의무 이행자는 이행기간(최대 3년)만큼 연령 연장(최대 42세)
    근로 상태: 공고일 기준 근로 중(소상공인·프리랜서·아르바이트 포함, 국가근로장학생은 제외)
    소득 기준: 기준중위소득 120% 이하(2025년 7월 건강보험료 기준)
    ※ 선정 이후에도 근로 유지가 불가하거나 제외직종 확인 시 중도 해지 가능.

가구별 건보료 기준(중위소득 120%) 요약표

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 금액 기준

가구원 수월 소득기준(120%)직장 건보료지역 건보료혼합
1인2,871,000102,61322,380
2인4,720,000168,410105,787170,193
3인6,031,000215,933151,146219,196
4인7,318,000261,360208,471266,302
5인8,530,000302,462260,307311,031
6인9,678,000354,964320,449369,517

제출서류 목록과 발급 타이밍

핵심 포인트: “공고일(2025.7.25.) 이후 발급분만 유효”

  • 공통(온라인 작성/업로드)
    1. 참여신청서, 2) 자가진단·필수사항 동의서, 3) 개인정보 수집·이용·제공 동의서
  • 근로확인 서류(택1, 근로형태별)
    • 직장가입자: 4대보험 가입내역 확인서(+공공기관 계약직은 근로계약서 사본)
    • 지역가입자: 일용근로내역서 또는 고용임금확인서+재직증명서
    • 자영업자: 사업자등록증명
  • 소득·재산 증빙(가구원 전원 각 1부)
  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(‘25.7월분), 자격확인서, 자격득실확인서
  • 주민등록 등·초본, 가족관계증명서(상세)
  • 추가/가산점 서류(해당 시): 소상공인 확인서, 사회적경제조직 인증서, 개인회생·워크아웃 증빙, 학자금 분할상환약정 증명, 국가유공자 증명 등
    PDF/JPG/PNG만 허용, 마감시간 이후 수정 불가.

혜택 구성: 2년 뒤 얼마 받나요?

  • 본인 저축: 월 10만 원 × 24개월 = 240만 원
  • 경기도 매칭: 의무 이행 시 현금 480만 원 + 지역화폐 100만 원
  • 총 수령액: 최대 580만 원(현금+지역화폐)
  • 부가 지원: 재무·노무·불법사금융 피해상담 연계, 금융역량 강화 교육 등
  • 적립금 사용처: 주거비, 교육비, 창업·운영자금, 결혼자금, 대출상환 등 실수요 중심

신청 제외(중복·제한) 꼭 확인!

다음에 해당하면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이 제한됩니다.

  • 복지부 자산형성사업(희망·내일·청년저축계좌 등) 참여 중/수혜자
  • 고용부·중기부 청년내일채움공제/재직자 내일채움공제(플러스) 참여 중/수혜자
  • 타 지자체 자산형성사업(예: 서울시 희망두배청년통장) 참여 중/수혜자
  • 경기도 내 유사사업(청년연금,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(舊 청년 마이스터 통장), 청년복지포인트) 참여 중 또는 중도해지 후 1년 미경과
  • 공무원·공공기관 무기계약직 등, 병역의무 이행 중, 불법 사행·향락 등 제외업종 종사자 등

신청 절차: 10분 완성 가이드

  1. 자격 확인: 거주·연령·근로·소득(건보료) 체크
  2. 서류 발급: 반드시 2025.7.25. 이후 발급분으로 준비
  3. 회원가입/로그인: 공식 홈페이지
  4. 온라인 작성: 신청서·동의서 입력 → 서류 업로드
  5. 최종 제출: [제출하기] 클릭까지 완료돼야 접수 인정
  6. 알림 확인: 접수 후 문자·마이페이지 공지 체크
  7. 선정 시: 약정·교육 이수·정기 저축·의무사항 준수
    → 마감 직전 업로드 오류를 대비해 하루 전 제출을 추천합니다.

합격을 부르는 팁 5가지

  1. 파일 규격(PDF/JPG/PNG)·가독성 확보(스캔/해상도)
  2. 가구원 서류 누락 방지: 전원분 자격/자격득실/납부확인서 체크
  3. 근로증빙 일치: 4대보험·계약서·재직증명서 정보 오기재 방지
  4. 가산점 대상이면 증빙 1개만 선택해 점수 극대화
  5. 의무사항 이해: 거주·근로·저축·교육 이수 불이행 시 해지 가능 유념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기간은?

A. 2025년 8월 1일 09:00 ~ 8월 18일 18:00 온라인 접수만 가능해요. 선착순이 아니어도 마감시간 이후 제출 불가입니다.

Q2. 만 나이 기준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
A. 1985.1.1.~2006.12.31. 출생자면 해당(만 19~39세). 병역의무 이행자는 기간만큼 최대 42세까지 연장돼요.

Q3. 아르바이트·자영업자도 가능한가요?

A. 네. 근로형태와 무관하게 공고일 기준 근로 중이면 신청할 수 있어요. 다만 국가근로장학생은 불가입니다.

Q4. 소득 기준은 어떻게 보나요?

A. 기준중위소득 120% 이하이며, 2025년 7월 건강보험료로 판단합니다. 가구원 전원 서류가 필요해요.

Q5. 중복 참여 제한은?

A. 복지부 자산형성사업, 청년내일·재직자 내일채움공제, 서울시 희망두배 등 다른 자산형성사업 수혜 이력이 있으면 제한됩니다. 경기도 내 유사사업 참여 중이거나 중도해지 후 1년 미경과도 제한돼요.

Q6. 얼마를 받게 되나요?

A. 24개월 후 **최대 580만 원(현금 480만+지역화폐 100만)**을 목표로 설계됐고, 의무사항을 지켜야 합니다.

Q7. 어디에 쓸 수 있나요?

A. 주거비, 교육비, 창업·운영자금, 결혼자금, 대출상환 등 실수요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안내됩니다.



문의처

  • 신규 모집 문의: 1877-3757
  • 시스템 문의: 1544-6892
  • 운영: 경기도 미래세대재단(청년 노동자 통장)
    ※ 공식 안내와 최신 공지는 청년 노동자 통장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.

마무리

청년 노동자 통장, 지금이 기회예요. 오늘 10분만 투자해서 자격 확인 → 서류 발급 → 온라인 제출까지 한 번에 끝내세요. 마감일(8/18 18:00) 전에 지금 바로 신청!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위로 스크롤